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관련 뉴스@기사

동영상 생성 AI 소라 2는 “전기와 물 먹는 하마”… AI 환경 비용 논란 재점화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9722&skind=D

 

동영상 생성 AI 소라 2는 “전기와 물 먹는 하마”… AI 환경 비용 논란 재점화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동영상 생성 모델 ‘소라2’는 기술적 경이로움과 동시에 인공지능(AI)의 막대한 환경 비용이라는 피할 수 없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www.boannews.com

🔹 주요 요약

  • 오픈AI의 ‘소라2(Sora 2)’ 같은 동영상 생성 AI는 막대한 전기·물 사용량을 유발
  • AI 전력 수요는 비트코인 채굴을 추월할 가능성이 있으며, 2030년까지 2배 이상 증가 전망
  • 효율 향상에도 불구하고 전체 사용량 증가 → 총 에너지 소비 확대 우려

🔹 세부 요약

  1. 소라2 등장과 환경 논쟁
    • 소라2는 텍스트 몇 줄로 초현실적 영상을 생성하는 모델
    • 막대한 연산 능력 요구 → 전력 및 물 소비량 급증
    • AI의 기술 발전과 동시에 환경적 비용 논의 본격화
  2. 초대형 데이터센터 경쟁
    • 오픈AI, 오라클·소프트뱅크 등과 함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추진
    • 5,00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건설
    • 컴퓨팅 경쟁이 환경 문제로 이어지는 대표 사례
  3. 전력 소비 급증 예측
    • 데이터 과학자 알렉스 드 브리스-가오:
      → 2025년 중반 AI 전력 사용량이 비트코인 채굴량 추월 전망
    • AI가 이미 글로벌 데이터 전력 소비의 약 20% 차지
    • IEA(국제에너지기구):
      →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이 2030년까지 2배 이상 증가 예상
    • MIT 테크놀로지 리뷰:
      → 2028년 AI 전력 사용량이 미국 전체 데이터센터 전력 초과 가능성
  4. 물 사용량 문제
    • 서버 냉각에 필요한 초순수(UPW) 대량 소모
    • GPT-3 훈련에 약 70만 리터 담수 사용 추정
    • 2027년까지 연간 40~60억㎥ 물 사용 가능성 제기
    • 오픈AI 데이터센터, 물 재활용 장치 도입 시도
  5. 하드웨어 제조의 탄소 발자국
    • 고성능 GPU 제조 → 에너지 집약적 공정 필요
    • 탄소 배출량이 일반 전자제품보다 훨씬 많음
    • 5초짜리 영상 1개 = 전자레인지 1시간 가동 수준의 전력 소모
  6. 비판적 시각(반론)
    • 일부 싱크탱크(데이터혁신센터):
      → “AI 에너지 추정치 과장, 잘못된 외삽(faulty extrapolations)에 기반”
    • GPU 효율 향상, 재생에너지 활용 증가 고려해야
    • AI의 에너지 영향은 **‘비관적 과장’**일 수 있다는 주장
  7. 비교 및 현실적 맥락
    • 구글 제미나이 프롬프트 1회:
      0.24Wh 전력, 0.25mL 물 사용
    • 넷플릭스 HD 영상 1시간 스트리밍:
      → 챗봇 응답보다 100배 이상 에너지 소비
    • AI 질의 1건의 영향은 미미하지만,
      수십억 건 쿼리 + 동영상 생성 확산 → 누적 영향 거대
  8. 결론 및 시사점
    • 효율 향상에도 총 사용량 증가로 에너지 총소비 상승 가능
    • “효율이 높아질수록 전체 사용이 늘어 총비용이 증가한다”는
      ‘제본의 역설’(Jevons Paradox) 현상이 AI에서도 재현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