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비즈니스 Insight

미국, 유럽 잇따른 규제 감속., 가장 속도 빠른 한국., 인공지능이 우리사회에 미칠 영향은?

인공지능 비즈니스 매칭센터(AX Planable) 2025. 11. 23. 19:56

유럽에 이어 미국에서 법적 규제 시한을 늦췄습니다.

반면 한국은 2026년 1월 AI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유럽과 미국이 규제를 늦추고 완화 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정리해보았습니다.

 

규제 감속 이유

  • 미국
  • 유럽
    • 규제 적용 준비 시간이 부족하고 기업 부담이 크다는 현실 인식. → 고위험 AI 규정 적용을 2027년까지 연기. Reuters+2Reuters+2
    •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규제 강화보다 조정·유예 쪽 전략 선택. Reuters+1

한국의 규제 속도 유지 이유

 

  • 2024년 말 통과된 인공지능 기본법(AI Basic Act)이 2026년 1월 시행 예정. 정보통신부+2Future of Privacy Forum+2
  • 정부는 기본법의 목적을 “국가 AI 경쟁력 강화와 국민 권리·안전 보호”로 설명. 국가인권위원회+1
  • 법은 AI 안전원 설립, 국가 AI 컨트롤타워, 인프라 투자 근거 등을 두어 산업 진흥과 규제를 함께 추진하도록 되어 있음. 무역청 | Trade.gov+1
  • 정부가 신속히 법제화하여 기업·시장에 명확한 규범 제공할 필요성 존재. Korea.net+1
  • 생성형 AI·딥페이크·데이터 활용 등에서 신뢰·안전·인권 이슈가 커지면서 사후보다 사전 규제 강화 필요성이 부각됨. IAPP

비대칭 규제 시행이 한국사회에 미칠 영향은?

1. 산업·혁신 경쟁력 측면

(장점) 명확한 규칙으로 신뢰 시장조성 가능

  • 규칙이 명확하면, 금융·의료·공공 등 규제가 중요한 영역에서 “한국산 AI는 법을 지킨 안전한 AI”라는 브랜드를 만들 수 있음 (PS Engage)

(단점) 과도·중복 규제 시혁신 위축·냉각 효과우려

  • 법학·정책 분석에서는, 기본법과 다른 규제가 겹치면 규제기관 간 중복 집행, 컴플라이언스 비용 증가, 혁신 인센티브 약화 가능성을 지적. (Network Law Review)
  • 미국·EU가 규제를 늦추는 동안 한국만 빠르게·강하게 적용하면,  스타트업·중소기업은 규제 부담 때문에 실험·도전을 주저할 위험이 있음.

2. 노동시장·일자리

  •  AI 도입 속도 조절 효과
    • OECD는 한국에서도 AI가 반복 업무 자동화, 고숙련 직무 확대 등 노동시장 구조를 크게 바꿀 것이라고 분석. (OECD)
    • 규제가 일정 수준 ‘제동’을 걸면,  급격한 일자리 충격은 완화될 수 있지만,  동시에 생산성 향상 및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 속도도 미국·EU보다 느려질 수 있음.
  • 재교육·전환 지원 정책의 중요성 상승
    • AI 도입이 느려져도 방향 자체는 바뀌지 않으므로, 평생교육, 리스킬·업스킬 정책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꾸준히 커질 것.

3. 국민 권리·사회 신뢰

(장점) 딥페이크·차별 알고리즘·데이터 오남용에 대한 방어력 증가

  • 기본법의 목적 자체가 권리·존엄 보호와 신뢰 기반 조성에 있고, 인권위원회도 이를 강조. (국가인권위원회)
  • 따라서 미국·EU보다 시민 보호 장치는 상대적으로 앞서 구축될 가능성이 큼.

(리스크) 규제가 느슨한 해외 서비스와의체감 격차

  • 국내 기업은 규제 준수 비용 때문에 기능 출시가 느린데,  한국 이용자는 규제 덜 받는 해외 서비스(우회 접속 등)를 더 선호할 수 있음, 국내 플랫폼 경쟁력 약화 + 규제 효과 반감이라는 이중 리스크.

4. 기업 구조·양극화

  • 대기업·플랫폼 중심 쏠림 심화 가능성
    • 복잡한 규제에 대응할 인력·법무·보안 체계를 갖춘 대기업은 오히려 진입장벽을 활용할 수 있음.
    • 반면 스타트업·중소기업은 기본법·개인정보·산업별 규제를 동시에 맞추기 어려워,  AI 생태계의 다양성이 줄고, 소수 대형 기업 중심 구조 강화 우려.
  • 해외 기업 유치 vs 국내 기업 유출의 양면성
    • 법은 외국 AI 기업의 한국 대표 지정 의무 등 해외 기업과의 협력·투자 유치 조항도 포함. (안보 및 신기술 센터)
    • 하지만 규제가 ‘과하다고’ 평가되면,  일부 국내 기업은 규제 완화 국가로 개발·법인을 이전하려는 유혹을 받을 수 있음.

우리의 준비

  • 규제는 예정대로 가되, 시행령·가이드라인으로 “속도·강도 조절” : 저위험·소규모 서비스에는 간소 규제, 고위험·대규모 시스템에는 집중 규제를 설계. (Nemko Digital)
  • 규제 샌드박스·시범사업을 통해 ‘테스트, 보완, 확대’로 이어지는 구조 만들기 : 혁신 아이디어가 법 시행 전에 아예 막히지 않도록, 실험 공간을 넓힐 필요가 있음.
  • 신뢰를 ‘수출 가능한 경쟁력’으로 만들기 : “한국산 AI는 인권·안전·투명성 기준을 충족한다”는 점을 금융, 공공, 의료 등 신뢰가 중요한 글로벌 시장 진출의 무기로 활용.
  • 노동·교육·복지 정책과 패키지로 묶기 : AI 도입으로 바뀌는 일자리·교육 체계에 대한 사전 대응(재교육, 사회 안전망)을 같이 설계해야 부정적 충격 최소화

 

 

[1]: https://www.reuters.com/world/white-house-pauses-executive-order-that-would-seek-preempt-state-laws-ai-sources-2025-11-21/ "White House pauses executive order that would seek to preempt state laws on AI, sources say"
[2]: https://www.lemonde.fr/en/economy/article/2025/02/12/at-the-paris-summit-the-us-charge-against-ai-censorship_6738046_19.html "At Paris summit, the US charges against AI 'censorship'"
[3]: https://www.citizen.org/news/1-1-billion-in-big-tech-political-spending-fuels-attacks-on-state-ai-laws/ "$1.1 Billion in Big Tech Political Spending Fuels Attacks on State AI Laws"
[4]: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boards-policy-regulation/eu-delay-high-risk-ai-rules-until-2027-after-big-tech-pushback-2025-11-19/ "EU to delay 'high risk' AI rules until 2027 after Big Tech pushback"
[5]: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boards-policy-regulation/eu-ease-ai-privacy-rules-critics-warn-caving-big-tech-trump-2025-11-19/ "EU eases AI, privacy rules as critics warn of caving to Big Tech"
[6]: https://www.msit.go.kr/eng/bbs/view.do?bbsSeqNo=42&mId=4&mPid=2&nttSeqNo=1071&pageIndex=&sCode=eng&searchOpt=ALL&searchTxt= "Basic Act on AI Passed at the National Assembly's Plenary ..."
[7]: https://www.korea.net/NewsFocus/policies/view?articleId=264071 "Newly enacted law sets basis for nat'l development of AI"
[8]: https://iapp.org/news/a/analyzing-south-korea-s-framework-act-on-the-development-of-ai "Analyzing South Korea's Framework Act on the ..."
[9]: https://www.chinadailyasia.com/article/623960 "EU to delay 'high risk' AI rules until 2027 after Big Tech ..."
[10]: https://www.politico.com/news/2025/11/19/white-house-prepares-executive-order-to-block-state-ai-laws-00660719 "White House prepares executive order to block state AI laws"
[11]: https://apnews.com/article/646de06404ba543dd7244d225fb27250 "What to know about Trump's draft proposal to curtail state AI regulations"
[12]: https://itif.org/publications/2025/09/29/one-law-sets-south-koreas-ai-policy-one-weak-link-could-break-it/ "One Law Sets South Korea's AI Policy—and One Weak ..."
[13]: https://www.humanrights.go.kr/eng/board/read?boardManagementNo=7003&boardNo=7611440&menuLevel=2&menuNo=114&page=1&searchCategory=&searchType=&searchWord= "Press Releases"
[14]: https://www.trade.gov/market-intelligence/south-korea-artificial-intelligence-ai-basic-act "South Korea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ic Act"
[15]: https://securiti.ai/south-korea-basic-act-on-development-of-ai/ "An Overview of South Korea's Basic Act on the ..."
[16]: https://ps-engage.com/south-koreas-ai-framework-act-navigating-opportunities-and-challenges-before-enforcement/ "South Korea's AI Framework Act: Navigating Opportunities ..."
[17]: https://www.networklawreview.org/choi-ai/ "The New AI Regulation in Korea: Problems of Jurisdictional ..."
[18]: https://www.oecd.org/en/publications/artificial-intelligence-and-the-labour-market-in-korea_68ab1a5a-en/full-report/seizing-the-opportunities-and-managing-the-risks-the-policy-response-to-ai_a06ac331.htm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Labour Market in Korea"
[19]: https://cset.georgetown.edu/publication/south-korea-ai-law-2025/ "Framework Act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
[20]: https://digital.nemko.com/regulations/ai-regulation-in-south-korea "AI Regulation in South Korea: Complete Regulatory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