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비즈니스 인싸이트

[주말 PICK!] 가장 먼저 늙는 부위는 어디?…AI가 밝힌 얼굴 노화 비밀

https://www.nongmin.com/article/20251017500543

[주말 PICK!] 가장 먼저 늙는 부위는 어디?…AI가 밝힌 얼굴 노화 비밀

세월이 흐르면 누구나 얼굴에 주름이 생기기 마련이다. 피부 노화는 20대 중반부터 서서히 시작돼 30~40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자리 잡는다. 하지만 눈가, 입술, 얼굴 윤곽 등 얼굴의 부위마

www.nongmin.com


주요 내용 요약
• LG생활건강은 이미지 분석 AI(비전 AI)를 이용해 한국인 약 1만 6,000명의 얼굴 사진을 분석하여 얼굴의 부위별 노화 시점과 속도의 차이를 밝혀냈다.  
• 얼굴 노화를 측정하기 위해 ‘안면 특징점 추출’ 기법을 이용해 눈꼬리, 입술 비율, 얼굴 윤곽선 등 68개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AI로 여섯 가지 노화 지표를 정량화하였다.  
• 분석 결과, 눈가 주변은 50세 이전부터 처짐이나 변화가 뚜렷해지기 시작하며, 반면 입술은 50세 이후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 얼굴 윤곽은 특정 연령대에 국한되지 않고 전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 유전체 분석(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GWAS)을 통해 얼굴 노화와 관련된 10개 유전자 영역이 확인되었고, 이들 유전자는 피부 조직 발달, 콜라겐 합성, 탄력 유지 등과 관련이 깊다는 결과가 나왔다.  
• 예를 들어, FOXL2 유전자는 눈가 피부 발달과 노화 조절에, FGF10 유전자는 콜라겐 합성과 피부 구조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연구는 국제 피부연구 학술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고 한다.  



해석 및 시사점
• 얼굴의 노화는 모든 부위가 동일한 속도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부위별로 시기와 변화 패턴이 다르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 발견이다.
• 이로 인해 연령대별로 관리해야 할 부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 30~40대는 눈가 탄력 및 처짐 관리가 중요할 수 있고,
  - 50대 이후에는 입가 또는 입술 주변 주름 및 처짐 개선이 더 중요한 과제로 떠오를 수 있다.
• 또, 유전적 요인이 얼굴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 유전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피부·노화 관리 전략 개발 가능성도 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