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 산업기술 R&D 성과분석, 기획연구 등 사업 안내.
www.kiat.or.kr

🚗 자율주행 현황 요약 (PwC, 2025.07)
- 단계 전환: ‘실증(테스트)’ → ‘상용화’로 급격히 진행
- 주도 국가: 미국·중국이 선도, 지역 맞춤형 서비스 확산
- 적용 구분:
- 상업용 차량: 자율주행 레벨 4 상용화 추진
- 개인용 차량: 레벨 2 기반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고도화
🔍 주요 과제별 핵심 포인트
① 사업화 과제
- 기능 보유 사업자의 조기 시장 진입 필요
- 자율주행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 운영 비용 절감을 통한 지속 가능성 확보
② 기술 개발 과제
- 센싱·기기 기술의 고도화 및 저가화 추진
- AI 활용 자율주행으로 ODD(운행설계영역) 확장
- 특수 상황 대응력 강화 및 사고율 감소
③ 법·제도 과제
- 레벨 4 국제 표준 수립
- 국가별 안전 성능 및 주행 관련 법제 정비
- 사고 시 책임 법률 명확화
④ 사회수용성 과제
- 자율주행 신뢰도 확보
- 문화·소비자 요구 반영한 현지화
- 사회 문제 해결형 자율주행 방향 검토
'인공지능 비즈니스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19호] (이슈포커스) AI를 활용한 제조 공정 고도화 방안 (KPMG, 9.12) (0) | 2025.10.22 |
|---|---|
| [2025년 19호] (산업‧기술동향) 에이전트 AI를 활용한 첨단 산업 혁신 방안 (美 McKinsey, 9.8) (0) | 2025.10.22 |
| 4100억으로 '24조' 찍었다…AI 타고 대박 난 '뜻밖의 회사' (0) | 2025.10.21 |
| “이젠 AI가 참모”…인공지능으로 무기체계 무한진화[서울 ADEX 2025] (0) | 2025.10.21 |
| 실종된 치매 어르신 정보 입력하니…1초 만에 찾아낸 인공지능 (0) | 2025.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