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한눈에 보는 체크리스트
• 세로 9:16, 길이 15–60초(유튜브 숏츠 ≤60초 권장)
• 후킹 2초: 제목/임팩트 컷 먼저
• 큰 자막 + 대비 높은 색상
• 배경음악은 작게(말 100 기준 BGM 20–30), 말할 땐 더 낮추기
• 1080×1920, 30fps(또는 60fps), H.264, 10–20Mbps로 내보내기
⸻
1. 초간단 10분 완성 (템플릿 활용)
1. 캡컷 실행 → 템플릿 탭
2. 검색창에 키워드 입력(예: “리뷰”, “여행 브이로그”, “폰트 자막”)
3. 마음에 드는 템플릿 선택 → 사용
4. 내 갤러리에서 영상/사진 선택 → 자동으로 적용됨
5. 텍스트 더블탭해서 문구 수정, 폰트/색상 조정
6. 음악 음량 20–30으로 낮추기(오디오 탭 → 음량)
7. 내보내기(↑) → 해상도/프레임 설정 → 저장
✅ 템플릿은 디자인·전환이 이미 세팅되어 있어 첫 영상에 특히 좋아요.
⸻
2. 제대로 만들기(수동 편집: 모바일)
A. 프로젝트/소스 준비
1. 새 프로젝트 → 비율 9:16(캔버스 → 9:16 세로)
2. **추가(+)**로 클립/사진 가져오기
3. 캔버스 → 채우기로 검은 여백(블랙바) 제거
4. 첫 2초에 후킹 문구/강한 장면 배치
B. 컷 편집(가장 중요)
• 타임라인에서 클립 선택 → 분할로 자르기 → 불필요 부분 삭제
• 템포 살리기: 점프컷(말 끊김, 침묵 제거), 줌 컷(자막·표정 강조)
• 속도: 속도 → 일정(예: 1.2–1.5×로 템포 업) 또는 커브로 램핑
C. 자막(조회수에 직결)
1. 하단 텍스트 → 자동자막 → 언어 한국어
2. 자막 레이어 선택 → 스타일:
• 폰트: 굵고 읽기 쉬운 폰트
• 크기: 화면 높이의 7–10%
• 색상: 흰 글자 + 검정 외곽선(그림자/배경 박스도 좋음)
3. 중요한 단어만 색상 강조(노랑/하늘색 등)
4. 말과 자막 타이밍 맞추기(필요시 드래그)
D. 음악/효과음/음질
• 오디오 → 음악에서 BGM 추가(저작권 주의, 플랫폼 내장 음원 추천)
• 음량: 말 100 기준 BGM 20–30
• 오디오 분리: 클립에서 소리만 떼어 BGM과 따로 조절
• 페이드 인/아웃: 시작·끝 매끄럽게
• 노이즈 제거/음질 향상: 오디오 → 소음 제거, 음성 향상(있다면 ON)
• 덕킹이 없으면 키프레임으로 말 구간에 BGM 살짝 내려주기
E. 전환/효과(과하게 쓰지 않기)
• 전환은 컷 사이에 0.2–0.4초 가볍게
• 효과 → 흔들림/글리치는 포인트만
• 오버레이: 로고, 스티커, QR 이미지를 상단 레이어로 올려 위치/크기 조절
F. 색/구도 마무리
• 조정: 노출 +510, 대비 +510, 채도 +5~10 정도부터
• 색온도로 피부톤 보정(차가우면 +, 노랗면 -)
• 프레임 채우기: 손가락으로 핀치-줌, 얼굴/제품 중앙에
G. 표지(썸네일) 한 컷 잡기
• 가장 임팩트 있는 프레임에 텍스트 크게 → 이 프레임을 표지로 사용
• 각 플랫폼 업로드 단계에서 커버 지정(혹은 별도 이미지 제작)
⸻
3. 내보내기(권장 설정)
• 해상도: 1080×1920(Full HD 세로)
• 프레임: 30fps(액션/게임은 60fps도 OK)
• 코덱/포맷: H.264 / MP4
• 비트레이트: 10–20 Mbps(화질 뿌옇다면 상향)
• 오디오: AAC 192–256 kbps
• 유튜브 숏츠: ≤60초, 인스타 릴스: 짧고 임팩트 있게, 틱톡: 15–30초 권장
⸻
4. 업로드 팁(플랫폼 공통)
• 제목 앞 10자에 핵심 키워드(예: “아이폰15 카메라 꿀팁”)
• 해시태그 3–5개(과도하게 많이 X)
• 플랫폼 내 음원 라이브러리 사용 시 노출에 도움
• 댓글 고정으로 추가 링크/설명 유도
⸻
5. 자주 생기는 문제 해결
• 검은 여백: 캔버스 → 9:16, 채우기
• 영상이 뿌옇다: 원본 해상도 확인, 내보내기 비트레이트 ↑, 60fps 필요 시 재내보내기
• 오디오가 커서 말이 묻힘: BGM 20–30, 말 구간만 더 낮추기(키프레임)
• 싱크 어긋남: 미리보기 품질 낮추기→편집→내보내기 후 확인
• 글씨가 작다: 자막 크기 키우고 외곽선/배경 박스 적용
⸻
6. PC(데스크톱)로 만들 때 핵심만
1. 새 프로젝트 → 9:16
2. 미디어 드래그&드롭 → S(분할), Delete(삭제)
3. Ctrl+D(복제), Ctrl+Z(되돌리기)
4. 텍스트 → 자동자막(한국어), 스타일 적용
5. 오디오 분리, BGM 페이드/음량 조절
6. 내보내기: 1080×1920, 30/60fps, H.264, 10–20Mbps
⸻
7. 처음 만드는 분을 위한 간단 “작업 순서 예시”
1. 새 프로젝트 → 9:16
2. 3개 클립 추가 → 불필요 부분 분할·삭제
3. 첫 2초에 핵심 장면 배치
4. 자동자막 생성 → 키워드 색 강조
5. BGM 추가 → BGM 25, 말 구간은 15
6. 전환 0.3초씩만 적용
7. 노출/대비 +10 정도로 밝게
8. 표지 프레임에 큰 제목 넣기
9. 1080×1920, 30fps로 내보내기
'인공지능 활용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클립 여러개를 하나로 만들기 따라하기 (CapCut 편) (0) | 2025.10.07 |
---|---|
동영상 만들기 따라하기 (DaVinci Resolve(무료버전도 가능) 편) “영상 여러 개를 하나로 이어붙여 한 파일로 내보내기” (0) | 2025.10.07 |
짧은 동영상 만들기 따라하기 (Sora 편) (0) | 2025.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