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11-06,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AI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예타 면제 확정 했다.
내년(2026년) 즉시 착수 가능하다.
그 배경에는 IMO가 2032년까지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MASS Code)을 제정 예정하고 있고, 이를 표준화하여 선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것 같다.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또한, 노르웨이·EU·일본 등 레벨4 상용화 경쟁 가속되고 있으며, 우리도 기술 격차 확보가 필요 하다는 판단인것 같다. (부산)
- 시장규모는 2032년 1,805억 달러(≈261조 원) 규모로 전망 하고 있다.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2020~2025년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레벨3) 에 1,603억 원 투입됬으며, 이번 사업을 통해 레벨4로 고도화 한다. (부산)
- IMO 레벨4(완전무인 자율운항) 핵심기술 확보 및 상용화 대비.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기술개발 항복(핵심트랙)
- 무인 항l해(AI 항법·인지·판단·제어)
- 기관 자동화(엔진·설비 상태 인지·자율제어)
- 운용 기술(선박 전체 운항·관제·사이버보안·데이터 운용 등)
- 검인증·실증(시험선/테스트베드, 국제인증 대응)
예산
- 기간: 2026~2032년(7년) 추진.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총사업비(안) : 언론 보도 기준 약 6,034.5억 원(국비 4,556억: 해수부 2,047억, 산업부 2,509억)., 일부 매체는 약 6,000억 원과 민간부담 약 1,500억 원 구조로 소개.
- 최종 총사업비·세부구성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후 확정 예정(정부 공지). 부산+2마켓in+2
[1]: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54322 "'AI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내년 착수…예타 면제 확정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 https://www.etnews.com/20251106000350 "AI 완전자율운항선박 사업, 예타 면제…글로벌 시장 선도 총력전 - 전자신문"
[3]: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110614531190429 "‘AI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사업’ 예타 면제 확정 - 부산일보"
[4]: https://marketin.edaily.co.kr/News/ReadE?newsId=06330406642363096 "'6000억' 완전자율운항 선박 기술개발 내년 착수…예타 면제 확정"
[5]: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7115 "AI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사업, 예타 면제... 산업부, IMO ..."
'인공지능 비즈니스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가 잘 이해·표현하는 언어는? (0) | 2025.11.06 |
|---|---|
| 휴머노이드, 나라별 출시 및 출시 임박한 휴머노이드 뭐가 있을까? (0) | 2025.11.05 |
| 인공지능 시대의 지식 재산권 ; 인공지능을 발명자로 인정할 수 있나? (0) | 2025.11.05 |
| OECD-KLI(한국노동연구원) 공동 보고서 ; 대한민국 AI일자리 대체 아직은 일러… (0) | 2025.11.03 |
| 나라별로 많이 사용하는 AI ; 2025, October (0) | 202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