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AI 경쟁력 = 칩 + 데이터 + 전기, 이 중 전기에서 중국이 앞서 준비하고 있는 상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앞으로 10년, AI 경쟁력은 칩과 알고리즘 못지않게 “전기 인프라”에 달려 있고, 중국은 이미 여유 전력을 쌓는 방향으로 앞서 가고 있습니다. 한국은 원전, 재생, 송전망, 산업 입지를 함께 설계해 “AI·반도체·데이터센터에 전기를 우선 공급할 수 있는 국가”로 가느냐가 승부처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1. 왜 “전기 공급”에서 중국이 유리하다고 하나?
1) 어마어마한 발전설비 증설 + 의도적인 ‘잉여 전력’ 전략
- 중국은 2024년 기준, 풍력·태양광 등 신에너지 설비 1,400GW+, 전체 설비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신에너지 설비 용량이 처음으로 석탄을 넘어섰습니다. usercontent.one+1
- 2025년에도 태양광·풍력 신규 설치량이 세계 기록을 계속 경신하고 있고, 전 세계 신규 태양광·풍력 프로젝트의 약 70% 이상을 중국이 짓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가디언)
→ 데이터센터·AI·전기차·배터리·반도체를 다 돌리고도 남을 만큼, “앞으로 쓸 전기”를 미리 깔아놓는 전략입니다.
2) 2030년 ‘400GW 여유전력’ – 골드만삭스 전망
-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2030년 중국의 실질 여유 전력(스페어 캐퍼시티)이 약 400GW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전 세계 데이터센터 예상 전력 수요(약 120GW)의 3배 규모입니다. 벤징가+2Interactive Brokers+2
- 같은 보고서에서 미국은 잉여전력 비율이 과거 26% → 현재 19%까지 떨어졌고 2030년이면 여러 지역에서 위험 한계선(15%)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합니다. 벤징가+1
→ 요약하면, “미국은 전기가 모자라서 AI 데이터센터를 못 짓는 쪽으로 가고, 중국은 전기가 남아서 얼마든지 지을 수 있는 구조로 가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3) 중앙집권·계획경제식 ‘에너지 인프라 총력전’
- 중국은 재생에너지(+원전) 장기 투자 + 석탄·가스 단기 안정성 확보라는 “투 트랙”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 (The Stanford Review)
- 국유기업 중심, 중앙·지방 정부가 발전소·송전망·공업단지·데이터센터를 패키지로 묶어 몇 년 단위 대규모 프로젝트로 밀어붙이는 구조입니다.
- 그 결과, “속도·규모·일관성” 측면에서 미국보다 전력 인프라를 훨씬 빠르게 깔 수 있는 제도적 우위가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Frontiers)
2. 중국 vs 미국 전력 상황 비교
1) 전력 인프라·수급 구조
■ 중국
- 태양광·풍력 신규 설치량 세계 최대, 연간 300GW 내외 확대 Climate Energy Finance+2usercontent.one+2
- 신재생·원전·석탄 동시 확장으로 전기 공급 ‘과잉 구조’로 이동 usercontent.one+3DNV+3Ember Energy+3
- 중앙정부·국유기업 중심 대규모 인프라 투자 → 인허가·건설 속도 매우 빠름
- 데이터센터·AI 산업 전력 수요를 여유 전력으로 흡수 가능블룸버그+2Interactive Brokers+2
- “전력–산업단지–데이터센터”를 묶는 통합형 전략으로 구축
■ 미국
- 전력 수요 정체기에 설비 투자 정체, 최근 AI 수요 폭증으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함 CSIS+2세계자원연구소+
- 송전망 노후 + 인허가·지역 규제 지연, 전기 병목 심화 CSIS+3Brookings+3
- 데이터센터 집중 지역(버지니아 등) 전력 부족 현상 발생
- 2030년 여유 전력 비중이 위험 수준까지 하락 가능성
- AI·데이터센터 확장 속도가 전력 공급 문제에 제약 받는 구조Goldman Sachs+3CSIS+3IEA+3
2) 가장 큰 차이: “여유 전력” vs “병목 전력”
■ 중국
- 경기 둔화 + 과잉 설비 + 폭발적인 재생에너지 투자 → 여유 전력(스페어 캐퍼시티) 확대
- 중앙정부가 “전력-데이터센터-산업단지”를 한 번에 설계할 수 있는 구조. Financial Times+2Carbon Credits+2
■ 미국
- 노후한 송전망, 지역별 규제, 신규 발전소 인허가 지연으로 북버지니아 같은 데이터센터 허브 지역은 전기 배정까지 7년 대기 사례도 존재. CSIS+1
- CSIS 등은 “전기 공급이 미국 AI 리더십의 가장 급한 병목”이라고 규정. CSIS+1
3. 대한민국의 대응 방안
한국은 에너지 다소비 제조강국 + AI·반도체·데이터센터 허브를 지향하는 나라라서, 전력 정책이 곧 산업·안보 전략입니다.
1) 전력 믹스 관점 : “원전 + 재생” 체계적인 확대
- 2024년 기준 한국 전력 믹스는 석탄 약 28~33%, 가스 25~27%, 원전 약 30%, 재생(태양광·풍력 등)은 10% 안팎 수준에 불과합니다. World Nuclear Association+2Ember Energy+2
- IEEFA 분석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설비를 2030년까지 3배로 확대하면 AI·반도체 산업의 전력 수요 증가분은 충분히 감당 가능하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IEEFA)
- 전략 포인트 : 원전은 기저 전원 + 탈탄소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확대·수명연장을 검토하고, 태양광·풍력(특히 해상풍력)을 데이터센터·반도체 클러스터와 연계한 “전기+산업” 패키지로 키워야 한다.
2) “AI·반도체·데이터센터 전력 클러스터” 전략
- 특정 지역(예: 서해·남해 해상풍력, 기존 원전 인근, 송전망 여유가 있는 권역)에 원전/재생·송전망·대규모 데이터센터·반도체 팹·배터리 공장을 한꺼번에 묶은 “에너지-디지털 수퍼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IEA도 일본·한국의 데이터센터 전력은 2030년까지 늘어나지만, 원전·재생 확대 시 상당 부분을 저탄소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고 봅니다. (IEA)
3) 송전망·인허가·규제 개혁
미국 사례가 보여주듯, “전기 자체”보다 더 큰 문제는 송전망·인허가 속도입니다.
- 데이터센터·대형 공장 전력 인입에 대해 송전선로 확충, 변전소 증설, 인허가 기간 단축(수년에서 1~2년 수준)이 필요합니다. CSIS+2CSIS+2
- 전력망 투자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입지·환경성·지역수용성을 표준화된 프로세스로 관리해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야 합니다. IEEFA+1
4) AI 시대에 맞는 “전략산업 전력 우선 배분” 원칙
- 한정된 전력 설비를 AI·반도체·배터리·데이터센터 등 전략 산업과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는 크지만 부가가치가 낮은 부문을 구분해 전력 가격·세제·송전 정책에서 차등 전략을 가져갈 필요가 있습니다. 가디언+1
5) 기업·지자체 대응
- 대기업·지자체는 RE100(재생에너지 직접 구매), PPA, 자체 태양광·연료전지·소형원전(SMR) 등 자체 전원 확보 전략을 병행해야 합니다. IEEFA+1
- 데이터센터 기업은 전력다소비 지역(수도권)에만 몰리지 않고, 송전 여유가 있는 지역으로 분산 배치 + 전용 송전망/마이크로그리드 모델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기삼+2FM+2
[1]: https://usercontent.one/wp/www.cet.energy/wp-content/uploads/2025/03/2025-03-CET_Summary-of-Chinas-energy-and-power-sector-statistics-in-2024.pdf "Summary of China's energy and power sector statistics in 2024"
[2]: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5/jun/26/china-breaks-more-records-with-massive-build-up-of-wind-and-solar-power "China breaks more records with surge in solar and wind power"
[3]: https://www.benzinga.com/markets/tech/25/11/48832577/america-data-centers-power-demand-us-ai-race-against-china-nvidia "America Could Lose AI Race Against China Due To Power Crunch, Goldman Says"
[4]: https://stanfordreview.org/how-chinas-energy-supremacy-threatens-u-s-ai-dominance/ "How China’s Energy Supremacy Threatens U.S. AI Dominance"
[5]: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energy-research/articles/10.3389/fenrg.2021.685735/full "Evolution Logic and Comparative Advantage of China's ..."
[6]: https://climateenergyfinance.org/wp-content/uploads/2025/02/MONTHLY-CHINA-ENERGY-UPDATE-Feb-2025.pdf "February 2025 China hit new record of solar and wind ..."
[7]: https://www.csis.org/analysis/electricity-supply-bottleneck-us-ai-dominance "The Electricity Supply Bottleneck on U.S. AI Dominance"
[8]: https://www.dnv.com/energy-transition-outlook/2025/greater-china/ "Greater China Energy Transition Outlook - DNV"
[9]: https://www.brookings.edu/articles/how-do-china-and-america-think-about-the-energy-transition/ "How do China and America think about the energy ..."
[10]: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11-14/goldman-sees-china-power-push-giving-it-edge-over-us-in-ai-race "Goldman Sees China Power Push Giving It Edge Over US in AI Race"
[11]: https://www.ft.com/content/e51744d9-e585-4622-91f9-e1f57c0269d9 "China is building 74% of all current solar and wind projects, report says"
[12]: https://www.lemonde.fr/en/economy/article/2025/07/14/china-the-energy-transition-superpower_6743366_19.html "China, the energy transition superpower"
[13]: https://world-nuclear.org/information-library/country-profiles/countries-o-s/south-korea "Nuclear Power in South Korea"
[14]: https://ieefa.org/resources/south-korea-needs-accelerate-renewable-energy-adoption-fuel-artificial-intelligence-ai "South Korea needs to accelerate renewable energy ..."
[15]: https://www.iea.org/reports/energy-and-ai/energy-supply-for-ai "Energy supply for AI"
[16]: https://ieefa.org/resources/south-koreas-11th-power-plan-makes-partial-progress-towards-decarbonization "South Korea's 11th power plan makes partial progress ..."
[17]: https://www.theguardian.com/environment/2025/aug/16/a-structural-dependence-on-heavy-industry-can-south-korea-wean-itself-off-fossil-fuels "'A structural dependence on heavy industry': can South Korea wean itself off fossil fuels?"
[18]: https://www.igisam.com/en/insight-news/insight/detail/15982 "Strategic Imperatives for Data Center Development in Korea"
'인공지능 비즈니스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를 도입했지만 혁신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 기업의 인공지능 비즈니스 관점의 고찰 (0) | 2025.11.14 |
|---|---|
| ETRI, 노코드 머신러닝 개발 도구 모두 오픈소스로 공개..."AI·SW지식 부족해도 한번 실행 OK, SW 손쉽게 개발도와" (0) | 2025.11.13 |
| AI 자동댓글 확산…여론 조작·불법 홍보까지 번지며 규제 시급 (0) | 2025.11.13 |
| 대한민국 교육부,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 발표... 비즈니스 관점... (0) | 2025.11.11 |
| 대한민국, 인공지능(AI)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예타 조사 면제 확정 (0) | 20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