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대체 (1) 썸네일형 리스트형 OECD-KLI(한국노동연구원) 공동 보고서 ; 대한민국 AI일자리 대체 아직은 일러… 1. 한국에서 AI(인공지능)는 직무(job) 전체를 대체하기보다는, 직무 내 일부 업무(task)를 보완하거나 자동화하는 수준입니다. 따라서 대규모 일자리 대체가 곧바로 나타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입니다. (→ “직무 전체 자동화 드물다”)2. AI 도입 기업의 다수가 “현재 직무 인원 변화 없음”을 보고하고 있으며, AI가 본격적으로 인력 감축을 유발했다는 증거는 제한적입니다.3. 다만 AI 도입으로 인해 필요한 기술·숙련 수준이 올라가고, 업무 내용이 바뀌고 있다는 점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특히 중소기업 및 저숙련 근로자 쪽에서 재교육·전환훈련 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4. 기술·기업 규모·근로자 숙련 수준 등에 따라 AI의 편익이 불균형하게 분포되고 있으며, 고숙련·고임금 직군이 상대적으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