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개요
- 조사명: “AI 이해도와 활용 경험에 따른 국민 인식 조사”
- 대상: 19세 이상 국민 2,000명 (온라인 설문) (AI타임스)
- 분석 그룹: 응답자의 AI 이해도 문항(7개)을 기준으로
- 상위 30% → 고이해군
- 중간 40% → 중이해군
- 하위 30% → 저이해군 (다음)
- 조사 시점: 2025년 11월 발표된 최신 자료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1. AI 활성화 기대 vs 우려
- 전체 응답자의 59.0%가 “향후 AI가 사회 전반에 활성화되는 것을 기대한다”고 응답.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우려한다”고 답한 비율은 16.7%에 불과. (다음)
- 특히 고이해군에서는 81.2%가 기대한다고 답했으며, 저이해군은 33.2%에 그침. (다음)
- → 즉, AI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훨씬 크다는 결론.

2. 떠오르는 감정 및 영향 인식
- 응답자들이 AI 하면 떠올리는 감정:
- ‘호기심이 든다’ 70.1%
- ‘놀랍다’ 65.5%
- ‘기대된다’ 61.7% (IT 비즈 뉴스)
- AI 기술 관련 인식:
- “기술 발전을 실감한다” 73.6%
- “앞으로 내 삶에 영향이 있을 것이다” 79.9%
- “앞으로 AI 기술이 확산될 것이다” 87.2% (어반톡)

3. AI 시대에 필요한 역량
- 전체 응답자 대상: ‘AI 시대 중요한 역량’으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윤리와 책임 의식’(54.1%), 그 다음이 ‘신기술 수용력’(41.5%) (어반톡)
- 그룹별 차이:
- 고이해군: 윤리·책임(46.8%), 신기술 수용력(44.6%), 창의적 사고력(37.8%) 등 비교적 다각적 응답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저이해군: 윤리·책임 의식이 가장 높은 비율(63.0%)로 단일 항목에 집중됨 (다음)
4. 기대 이유 및 우려 이유
- 기대 이유(이해도 관계없이 가장 많음): “생활의 편리성 증대”(60.7%) (다음)
- 두 번째 기대 이유는 그룹별로 다름:
- 고이해군: “생산성 향상 및 경제 성장”(44.3%)
- 저이해군: “안전 및 사회시스템 효율화”(43.6%)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우려 이유 상위:
- “가짜뉴스 및 정보 조작”(48.0%)가 가장 많음 (다음)
- 다음으로 “인간 주도성 및 통제 약화”(40.8%)
- 고이해군에서는 “일자리 감소 및 대체”(45.3%)도 중요한 우려 요인으로 나타남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5. 바람직한 사회상
- 전체 응답자들이 꼽은 AI를 통해 만들어갈 바람직한 사회상 1위는 ‘안전한 사회’(48.4%) (다음)
- 고이해군에서는 ‘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루는 사회’(46.2%)를 가장 많이 선택. (IT 비즈 뉴스)
6. 시사점
- AI 이해도가 국민 인식에 큰 차이를 만듬
- 이해도가 높을수록 기대감·활용 가능성 인식 증가
- 저이해군은 규범·사회제도 쪽 우려가 더 크게 나타남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모든 집단에서 생활 편리성 증대를 기대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만큼, AI 서비스 확산 시 ‘사용자 생활 변화’ 메시지가 중요
- 동시에 가짜뉴스·정보조작, 통제 약화, 일자리 감소 등의 우려도 뚜렷, 따라서 AI 활성화 정책·사업에서는 신뢰·투명성·통제가 핵심 이슈
- 윤리와 책임 의식’이 AI 시대 핵심 역량으로 꼽힌 만큼 기업/기관/교육에서 AI 윤리 교육, 책임 있는 AI 설계 등이 더욱 강조될 필요있음.
[1]: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000 "NIA \"AI를 잘 쓸수록 AI 활용에 대한 기대 높아\""
[2]: https://v.daum.net/v/20251114134049597 "AI 이해도 높을수록 활성화 기대↑…NIA, 대국민 인식 조사"
[3]: https://www.etnews.com/20251114000162 "AI 이해도 높을수록 활성화 기대↑…NIA, 대국민 인식 조사"
[4]: https://v.daum.net/v/20251114102023902?f=p "\"가짜뉴스·정보조작 우려 48%로 1위\"…NIA, AI 국민 인식 ..."
[5]: https://www.itbiz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7191 "AI 잘 쓸수록 활용 기대감 높아…중요 역량은 '윤리·책임 의식'"
[6]: https://urban-talk.com/View.aspx?No=3854353 "[AI] AI 시대 중요한 역량에 '윤리와 책임 의식'이 1위"
'인공지능 관련 뉴스@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6학년도 수능 AI 점수 대결... 승자는? (0) | 2025.11.15 |
|---|---|
| AI 기본법 시행령 입법예고, “AI가 개입된 서비스”와 “AI가 만든 결과물” 사람 눈에 보이게 표시해야... (0) | 2025.11.14 |
| OpenAI, 첫 한국 데브데이 개최 (0) | 2025.11.14 |
| 연·고·서울대 등에서 터진 ‘AI 커닝’, AI 일상화에 따른 현실 부적응의 결과 (0) | 2025.11.14 |
| 오늘의 뉴스 (25. 11. 14.) (0) | 2025.11.14 |